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경제

최근 중국산 가전제품의 해킹 사례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및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SMALL

최근 중국산 가전제품의 해킹 사례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및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주요 사례와 해킹된 데이터의 활용 용도,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중국산 가전제품 해킹 사례

  1. 로보락 로봇청소기 정보 유출 논란
  2.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1위 업체인 중국 가전기업 로보락이 한국 사용자 개인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개인정보 처리 방침'으로 논란이 되었습니다. 로보락은 이에 대해 "엄격한 조치를 시행 중"이라고 해명하였습니다. 
  3. 중국산 에어프라이어 개인정보 유출
  4. 영국 소비자단체 '위치?'에 따르면, 아마존 등 온라인을 통해 판매되는 중국 브랜드 샤오미와 아이고스타의 스마트 에어프라이어와 연동된 앱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가 중국 서버로 전송되고 있다고 합니다. 
  5. 중국산 로봇청소기 해킹 우려
  6. 중국산 로봇청소기의 해킹 가능성과 IP 카메라 해킹 영상 유통 문제가 맞물리면서 가전제품을 통한 사생활 유출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해킹된 데이터의 활용 용도

해킹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수집 및 판매: 해커들은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불법적으로 판매하거나 악용할 수 있습니다.
  • 스팸 및 피싱 공격: 수집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스팸 메일이나 피싱 공격을 시도하여 추가적인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사생활 침해: 가전제품의 카메라나 마이크를 해킹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침해하고, 이를 불법적으로 유포할 수 있습니다.

해킹 방지 방법

  1.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 선택
  2. 제품 선택 시 국제 보안 인증을 받은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를 우선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최신 상태 유지
  4. 기기의 펌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하여 보안 취약점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5. 기본 비밀번호 변경 및 강력한 비밀번호 설정
  6. 초기 비밀번호를 반드시 변경하고, 강력한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원격 접속을 차단하는 등 기본적인 보안 설정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7. 불필요한 기능 비활성화
  8. 기기 사용 시 개인 정보 입력을 최소화하고, 음성 녹음이나 위치 추적 등 불필요한 기능은 비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9. 네트워크 분리 및 방화벽 설정
  10.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시스템의 경우 인터넷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가정 내 라우터 방화벽 설정을 강화하여 외부 공격에 대비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중국산 가전제품의 해킹 위험을 최소화하고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